1. 부산노회 조직의 배경
고신교단의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총노회가 조직될 당시 총노회 산하에는 320여 개의 교회가 있었는데 이들 교회는 주로 부산, 경남 지역에 산재해 있었다. 그래서 당시로는 교단 교회의 약 90%가 부산, 경남 지역에 있었다. 사실 고신교단은 경남노회를 모체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기도 했다. 그 후 점차 타지역에서도 고신교단에 가입해 처음으로 교회 관할을 위해 대구지방회, 경주지방회 그리고 전라지방회를 두었다.
그러다가 1953년 3월 6일 ~ 7일, 부산 삼일교회당에서 소집된 제2회 총노회에서는 경북노회 조직을 결의하였다. 이 결의에 의해서 경북노회는 1953년 5월 19일 대구 서문로교회에서 조직되었다. 이것은 고신교단의 교세확장과 정비에 있어서 정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고신교단은 경남노회 지역이 교단으로서 소규모의 분파운동으로 이해되었으나 경북노회가 조직됨으로써 고신교단의 진리운동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운동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의미가 있었고 장차 전국규모의 교단으로 조직이 확대될 것을 예견케 해주는 의미가 있었다. 이런 점에서 고신교단의 새로운 출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45년 3월 부산 남교회당에서 제3회 총노회가 조직되었는데 이 회의에서는 정기노회와 전라노회를 조직하기로 가결하였다. 당시로 볼 때 이들 지역에 노회를 조직할 만한 형편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조직의 정비는 교세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에 이들 지역에 노회를 조직하기로 결의했던 것이다. 이 결의에 따라서 1954년 11월 정기노회와 전라노회가 각각 조직되므로 고신교단은 경남노회, 경북노회에 이어 경기, 전라노회가 조직되므로 4개 노회로 치리회가 개편되었다.
1956년 4월, 부산 남교회당에서 회집(총대 목사 56명, 장로 38명, 선교사 2명)된 제5회 총노회에서는 경남(법동)노회를 3분하여 경남, 진주, 부산노회로 개편하기로 가결하는 한편, 기존의 총노회를 총회로 개편하기로 결의하였다다. 이 결정에 의해서 동년 6월 5일에는 부산노회가 6월 19일에는 진주노회가 각각 조직되어 고신교단은 6개 지역 노회를 가진 교단이 되었다. 그래서 1956년 9월 20일, 부산 남교회당에서 6개 노회 곧 경남, 경북, 경기, 전라, 부산 그리고 진주노회 초대 목사 52명과 장로 43명 등 95명이 모여 역사적인 대한 예수교 장로회 총회를 조직하게 한 것이다. 총회를 조직할 당시 교단 치리회 산하에 있는 교회수는 588개였고, 목사는 111명, 전도사 252명, 장로 157명 그리고 세례교인수는 15,350명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부산, 경남 지역의 교회가 전체교회의 70%에 달하였다.
2. 부산노회의 조직
부산노회는 1956년 4월의 총노회 결정에 따라 기존의 경남노회를 보립하여 6월 5일 제일영도교회에서 모인 창립노회를 통해 공식적으로 조직되엇다. 이 날 소집책임자였던 한상동 목사에 의해 개최된 창립노회에서 한상동 목사는 '부산노회 조직의 대의와 성격'이란 제목으로 보고하면서 부산노회 조직의 필요성과 긴박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일부 예배를 폐한 후 임시 서기로 지명된 전성도 목사에 의해 출석회원을 호명하니 아래와 같았다.
* 목 사
오종덕, 한상동, 박윤선, 박순혁, 한대식, 한명동, 전성도, 김상도, 이재만, 김을길, 김희수, 기장원, 정해동, 박상순, 김영진, 이상근, 박치덕, 김원주, 한부선, 김요섭, 최일영, 김갑석, 김진홍, 최준호, 장석인, 정길수
* 총대장로
주영문, 이경백, 한형세, 최학림, 구용서, 김정학, 이상도, 박문수, 김선출, 김봉조, 이종기, 장익용, 박봉화, 이진염, 김삼수, 정낙관, 김주연, 이근춘
이상 목사 26명, 총대장로 16명이 참석한 창립노회에서는 투표로 임원을 선출하여 부산노회 첫 임원으로 봉사케 하였다. 이 날 피선된 임원으로는
노회장 : 한상동 목사, 부노회장 : 박손혁 목사, 서기 : 전성도 목사,
회록서기 : 김영진 목사, 부회록서기 : 김장원 목사,
회계 : 주영문 장로, 부회계 : 박봉화 장로
등이었다. 임원 선출과 함께 규칙제정위원으로 박손혁, 전성도, 박윤선, 한부선, 김상도 등 5인이 선출되었다. 이들 5인에게 부산노회 제 규칙을 제정하도록 위임되었다. 규칙제정위원들의 건의에 따라 부산노회는 산하 3개 시찰부를 두기로 했는데, 서부시찰부, 중부시찰부, 북부시찰부가 그것이다. 현재는 부산지방에 부산노회, 동부산노회, 중부산노회, 남부산노회 등 다수의 노회가 있으나 당시는 부산지방은 물론이지만 김해지방, 울산지방까지 그 관할하에 두었다. 부산노회가 조직될 당시 부산노회 관할하에는 약 80여개 교회가 있었다. 그러나 여러 지역에 산재해 있었으므로 전기한 바처럼 3개 시찰회를 두어 챙정적으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 때 조직된 부산노회에는 여타의 노회의 경우처럼 임시부, 전도부, 신학부, 종교교육부, 학무부, 시치부, 면려부, 규칙부, 재정부, 헌의부, 학생지도부 등 11개 상비부를 조직하였다.
이렇게 하여 부산노회가 정히 조직되었다. 부산노회는 창립된 후 40여 년을 경과해 오는 동안 고신교단의 모체노회이자 중심노회로서 교단의 정신과 이념, 교단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그것을 부산지방을 중심으로 한 노회라는 지역적 중심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특히 한상동 목사, 한명동 목사, 박윤선 목사, 박손혁 목사, 한부선 선교사 등 교단의 지도적 인사들이 속해 있고 이들의 지도력 때문에 부산노회는 항상 교단정신의 중심적 동력원으로 이해되었다.
(본항, 「부산노회가 조직되기까지」의 필자는 고신대학교 이상)
회수 | 일시 | 장소 | 목사회원 | 장로회원 | 총회원수 |
---|---|---|---|---|---|
1 | 1956. 6. 5 ~ 6 | 제일영도교회 | 26 | 14 | 40 |
2 | 1956. 9. 4 ~ 5 | 온천교회 | 19 | 15 | 34 |
3 | 1956. 9. 20 ~ 속회함 | 남교회 | 27 | 13 | 40 |
4 | 1957. 3. 5 ~ 6 | 삼일교회 | 29 | 16 | 45 |
5 | 1958. 3. 4 ~ 6 | 성남교회 | 30 | 13 | 43 |
6 | 1958. 9. 9 ~ 11 | 완월동교회 | 33 | 16 | 49 |
7 | 1959. 3. 3 ~ 5 | 제3영도교회 | 30 | 12 | 42 |
8 | 1959. 9. 8 ~ 10 | 해운대제일교회 | 32 | 22 | 54 |
9 | 1960. 3. 8 ~ 10 | 송도교회 | 28 | 20 | 48 |
10 | 1960. 9. 6 ~ 9 | 범천교회 | 23 | 21 | 44 |
11 | 1963. 8. 8 ~ 9 | 남교회 | 23 | 21 | 47 |
12 | 1963. 9. 3 ~ 5 | 삼일교회 | 28 | 19 | 47 |
13 | 1964. 3. 3 ~ 5 | 제일영도교회 | 34 | 20 | 54 |
14 | 1964. 9. 8 ~ | 제3영도교회 | 23 | 25 | 58 |
15 | 1965. 3. 9 ~ | 대신동교회 | 32 | 12 | 44 |
16 | 1965. 9. 7 ~ | 삼일교회 | 35 | 32 | 67 |
17 | 1966. 3. 8 ~ 9 | 제일영도교회 | 38 | 30 | 68 |
18 | 1966. 9. 6 ~ | 북교회 | 39 | 28 | 67 |
19 | 1967. 3. 7 ~ | 영주동교회 | 38 | 28 | 66 |
20 | 1967. 9. 5 ~ | 자성대교회 | 37 | 26 | 63 |
21 | 1968. 3. 5 ~ | 온천교회 | 40 | 34 | 74 |
22 | 1968. 9. 3 ~ | 부민교회 | 44 | 22 | 66 |
23 | 1968. 3. 4 ~ | 범천교회 | 43 | 37 | 80 |
24 | 1969. 10. 7 ~ 9 | 동일교회 | 47 | 36 | 83 |
25 | 1970. 3. 3 ~ | 수정교회 | 39 | 24 | 63 |
26 | 1970. 10. 6 ~ | 대신동교회 | 46 | 39 | 85 |
27 | 1971. 4. 13 ~ | 제3영도교회 | 52 | 46 | 98 |
28 | 1971. 10. 5 ~ | 제일영도교회 | 53 | 37 | 90 |
29 | 1972. 4. 4 ~ | 성서교회 | 60 | 45 | 105 |
30 | 1972. 10. 3 ~ 5 | 삼일교회 | 65 | 52 | 117 |
31 | 1973. 4. 3 ~ 5 | 북교회 | 77 | 46 | 123 |
32 | 1973. 10. 9 ~ | 송도제일교회 | 76 | 51 | 127 |
33 | 1974. 4. 16 ~ | 동일교회 | 78 | 55 | 133 |
34 | 1974. 10. 8 ~ | 사상교회 | 90 | 60 | 150 |
35 | 1975. 4. 8 ~ | 서면교회 | 90 | 65 | 155 |
36 | 1975. 10. 7 ~ | 제3영도교회 | 93 | 66 | 159 |
37 | 1976. 4. 6 ~ | 제일영도교회 | 41 | 35 | 76 |
38 | 1976. 10. 5 ~ | 대신동교회 | 43 | 35 | 78 |
39 | 1977. 4. 12 ~ | 수정교회 | 42 | 30 | 72 |
40 | 1977. 10. 4 ~ | 항도교회 | 55 | 43 | 98 |
41 | 1978. 4. 4 ~ | 김해중앙교회 | 53 | 37 | 90 |
42 | 1978. 10. 2 ~ | 제2영도교회 | 48 | 36 | 84 |
43 | 1979. 4. 2 ~ | 부민교회 | 47 | 41 | 88 |
44 | 1979. 10. 15 ~ | 장림교회 | 56 | 42 | 98 |
45 | 1980. 4. 7 ~ | 제4영도교회 | 49 | 43 | 104 |
46 | 1980. 10. 13 ~ | 남교회 | 56 | 48 | 104 |
47 | 1981. 4. 6 ~ | 제3영도교회 | 51 | 39 | 90 |
48 | 1981. 10. 12 ~ | 영주동교회 | 54 | 38 | 92 |
49 | 1982. 4. 12 ~ | 괴정제일교회 | 50 | 34 | 84 |
50 | 1982. 10. 11 ~ | 송도제일교회 | 65 | 43 | 108 |
51 | 1983. 4. 4 ~ | 부민교회 | 56 | 41 | 97 |
52 | 1983. 10. 10 ~ | 부평교회 | 58 | 60 | 118 |
53 | 1984. 4. 2 ~ | 제일영도교회 | 59 | 54 | 113 |
54 | 1984. 10. 15 ~ | 삼일교회 | 63 | 53 | 116 |
55 | 1985. 3. 8 ~ | 괴정제일교회 | 68 | 56 | 124 |
56 | 1985. 10. 14 ~ | 대신동교회 | 71 | 61 | 132 |
57 | 1986. 4. 7 ~ | 장림교회 | 79 | 61 | 140 |
58 | 1986. 10. 13 ~ | 항도교회 | 79 | 71 | 150 |
59 | 1987. 4. 6 ~ | 하단교회 | 59 | 48 | 107 |
60 | 1987. 10. 10 ~ 12 | 초장동교회 | 69 | 54 | 123 |
61 | 1988. 4. 4 ~ 5 | 동일교회 | 71 | 51 | 122 |
62 | 1988. 10. 10 ~ 11 | 자성대교회 | 65 | 52 | 117 |
63 | 1989. 4. 3 ~ | 대신동교회 | 58 | 52 | 110 |
64 | 1989. 10. 9 ~ 10 | 제5영도교회 | 70 | 65 | 135 |
65 | 1990. 4. 2 ~ 3 | 장림교회 | 77 | 54 | 131 |
66 | 1990. 10. 8 ~ | 제주서광교회 | 80 | 64 | 144 |
67 | 1991. 4. 8 ~ 9 | 구평제일교회 | 71 | 61 | 132 |
68 | 1991. 10. 7 ~ 8 | 제일영도교회 | 84 | 66 | 150 |
69 | 1992. 4. 6 ~ 7 | 부민교회 | 86 | 63 | 143 |
70 | 1992. 10. ~ | 송도제일교회 | 88 | 65 | 153 |
71 | 1993. 4. 12 ~ 13 | 삼일교회 | 89 | 60 | 149 |
72 | 1993. 10. 4 ~ 10. 5 | 성산교회 | 100 | 71 | 171 |
73 | 1994. 4. 4 ~ 4. 5 | 제4영도교회 | 86 | 66 | 152 |
74 | 1994. 10. 3 ~ 10. 4 | 제일영도교회 | 94 | 68 | 164 |
75 | 1995. 4. 3 ~ 4. 4 | 하단교회 | 87 | 64 | 162 |
76 | 1995. 10. 2 ~ 4. 4 | 대신동교회 | 94 | 70 | 164 |
77 | 1996. 4. 8 ~ 4. 9 | 성산교회 | 93 | 60 | 153 |
78 | 1996. 10. 7 ~ 10. 8 | 신서귀포교회 | 95 | 67 | 162 |
79 | 1997. 4. 7 ~ 4. 8 | 제4영도교회 | 100 | 71 | 171 |
80 | 1997. 10. 6 ~ 10. 8 | 괴정제일교회 | 108 | 80 | 188 |
81 | 1998. 4. 13 ~ 4. 15 | 장림교회 | 103 | 71 | 174 |
82 | 1998. 10. 12 ~ 10. 1 | 동일교회 | 114 | 82 | 192 |
83 | 1999. 4. 12 ~ 4. 13 | 자성대교회 | 102 | 75 | 177 |
84 | 1999. 10. 11 ~ 10. 8 | 제2영도교회 | 120 | 91 | 211 |
85 | 2000. 4. 10 ~ 4. 11 | 부민교회 | 109 | 99 | 208 |
86 | 2000. 10. 9 ~ 10. 10 | 감천제일교회 | 121 | 94 | 215 |
87 | 2001. 4. 10 ~ 4. 11 | 송도제일교회 | 120 | 83 | 203 |
88 | 2001. 10. 15 ~ 10. 16 | 괴정제일교회 | 122 | 86 | 208 |
89 | 2002. 4. 15 ~ 4. 16 | 삼일교회 | 113 | 85 | 198 |
90 | 2002. 10. 14 ~ 10. 15 | 대신동교회 | 122 | 90 | 212 |
91 | 2003. 4. 7 ~ 4. 8 | 부평교회 | 115 | 87 | 202 |
92 | 2003. 10. 13 ~ 10. 14 | 제4영도교회 | 132 | 93 | 225 |
93 | 2004. 4. 12 ~ 4. 14 | 제주서광교회 | 124 | 78 | 202 |
94 | 2004. 10. 11 ~ 10. 12 | 하단교회 | 142 | 95 | 237 |
95 | 2005. 4. 11 ~ 4. 12 | 삼일교회 | 129 | 91 | 220 |
96 | 2005. 10. 10 ~ 10. 11 | 제일영도교회 | 142 | 98 | 240 |
97 | 2006. 4. 17 ~ 4. 18 | 은항교회 | 123 | 92 | 215 |
98 | 2006. 10. 9 ~ 10. 10 | 동일교회 | 128 | 93 | 221 |
99 | 2007. 4. 9 ~ 4. 10 | 한울교회 | 130 | 100 | 230 |
100 | 2007. 10. 15 ~ 10. 16 | 삼일교회 | 133 | 104 | 237 |